
월화수목만 일하고 금요일부터 주말?! 이제 더 이상 상상 속의 이야기가 아닙니다. 세계 각국에서 주 4일제 근무제를 도입하거나 실험하고 있으며, 그 결과는 예상보다 훨씬 긍정적이었습니다.
🔍 주 4일제란?

단순히 "하루 더 쉰다"는 개념이 아닙니다. 최근 실험에서는 임금은 100% 유지하면서 근로 시간만 80%로 단축, 대신 생산성은 100% 이상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‘100:80:100 모델’이 적용되었습니다.
- 근로 시간: 80%
- 임금: 100%
- 생산성: 100%
📈 실험 결과 요약

- 미국, 영국, 브라질 등 8,700명 근로자 대상 실험
- 대부분 기업에서 생산성 유지 또는 향상
- 직원 만족도 증가, 스트레스 감소, 삶의 질 향상
- 실험 참여 기업의 90% 이상이 제도 지속
아이슬란드의 성공 사례
- 2015~2019년, 전국 단위 실험 진행
- 생산성 유지 또는 증가
- 건강·워라밸·심리적 안정 등 전반적인 삶의 질 비약적 향상
- 현재 전체 근로자의 약 50% 이상이 주 4일제 참여 중
- 2022년 GDP 성장률 9% → 경제 활력 증대 효과까지
🧠 어떻게 성과를 유지했을까?

핵심은 선택과 집중이었습니다.
- 불필요한 회의 제거, 이메일 대체
- 커피 타임 축소
- 개인 업무는 근무 외 시간 처리
- 실제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해 근로 시간 감소를 상쇄
🇯🇵 일본·🇧🇪 벨기에의 방식은 다르다?

일본 기업(도요타, 유니클로 등)과 벨기에는 ‘유연 근무형 주 4일제’를 택했습니다.
- 총 근무 시간은 그대로
- 5일 치 업무를 4일에 몰아서 처리
- 직원 선택권 강화
예: 하루 8시간 근무 → 하루 10시간 × 4일 → 주말은 길게, 업무는 압축적으로
🇺🇸 미국의 주 4일제 입법 시도

- 상원에서 주 32시간 근무 법안 발의
- 캘리포니아주에서도 주 4일제 법제화 시도
- 아직은 발의 수준이지만, 논의 자체가 활발하다는 것이 의미 있음
⚠️ 주 4일제 도입의 걸림돌

💰 인건비 문제
임금 유지하면서 근무 시간 단축 → 기업 입장에선 부담 예: 세브란스병원은 간호사 전체 적용 시 연간 440억 원 소요 예상
📉 임금 삭감 시 참여율 급감
스페인의 통신사: 임금 15% 삭감 후 주 4일제 → 지원자 거의 없음
⚖️ 노동 양극화 우려

- 자영업자, 특수고용직, 플랫폼 노동자에게 적용 어려움
- 저임금 노동자의 초과수당 감소 → 실질 임금 하락
- 주 4일제가 되려 임금 불평등을 확대할 수도 있음
🕰️ 과거에도 ‘주 5일제’는 낯선 변화였다

1926년 헨리 포드가 처음 주말 도입 → 당시는 “비현실적” 비난도 현재는 전 세계 표준 근무 형태 주 4일제도 언젠가는 일상이 될 수 있다
✅ 결론

생산성 하락 없이 일과 삶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면? 주 4일제는 단순한 복지가 아닌, 지속 가능한 일 방식의 대안입니다. 국가별, 산업별 현실적 차이가 있지만, 이미 많은 나라와 기업들이 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.